본문 바로가기

경영 이론/조직행동 이론

욕구단계이론과 ERG이론

오늘은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이론(욕구계층이론)과 알더퍼의 ERG이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욕구단계이론은 인간의 욕구를 다섯가지로 구분하여 피라미드 형식의 모형으로 구성한 이론으로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 계실 겁니다.

 

욕구는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사회적(소속) 욕구, 존경(자존) 욕구, 자아실현 욕구 로 나뉘며 하위 계층 -> 상위 계층으로 계층적 구조를 형성하며, 여기서 매슬로우는 순서적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욕구단계이론에서 충족되지 못한 욕구(욕구 결핍)는 동기로써 작용, 욕구가 충족되면 해당 욕구는 동기로써의 효력을 잃고 다음 단계의 욕구가 동기로써 작용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다섯가지 욕구들을 세분화하면

생리적 욕구 - 의식주에 해당하는 자신의 생리적 균형을 유지하는데 요구되는 기본적인 욕구들

안전 욕구 - 개인의 육체적, 심리적 안정에 대한 욕구를 의미하며, 신체적 보호, 가족의 안전, 안정된 직업 등이 해당

사회적(소속) 욕구 - 일반적으로 대인관계를 의미하며, 소속 욕구라고도 합니다.

존경(자존) 욕구 - 자신이 아닌 타인으로부터 인정이나 존경을 받고자 하는 욕구를 의미합니다.

자아실현 욕구 - 자신이 더 보람차고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삶을 추구하며, 모든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나타나는 욕구를 뜻합니다.

 

추가적으로 이 중 생리적 욕구와 안전 욕구는 하위 욕구, 나머지 세가지는 상위 욕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욕구단계이론은 욕구와 동기부여의 관계와 욕구에 대한 단계적 구조에 대해 이론화하였지만, 욕구구분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고, 구분된 욕구들의 동시발생 가능성, 퇴행가능성(한번 만족한 욕구는 동기부여로써의 효력을 잃음) 등을 무시한 부분에서 비판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알더퍼의 ERG 이론은 이러한 욕구단계이론의 단점들을 수정,보완한 이론으로 다섯가지 욕구를 세가지로 재구분하고, 새로운 욕구실현과정을 모형화하였습니다.

 

먼저 알더퍼는 욕구를 존재욕구(Existence needs), 관계 욕구(Relatedness needs), 성장 욕구(Growth needs)로 구분하였으며 각 욕구들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각 욕구들의 이니셜을 따 ERG이론이라고 부릅니다.)

 

존재욕구 - 인간이 생존하기 위한 물질적 생리적 욕구

관계욕구 - 타인이나 사회집단과의 상호작용 관계에 대한 욕구

성장욕구 - 개인적 창조적 성장을 위한 욕구

 

욕구단계이론과 ERG이론의 가장 큰 차이점은 ERG이론은 하위 단계에서 상위 단계의 욕구실현 진행 뿐만 아니라, 욕구에 대한 좌절을 통해 하위 욕구로 퇴행할 수도 있다는 점(좌절퇴행욕구)과 두가지 이상의 욕구가 동시에 동기로서 작용하고 동시에 충족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쉽게 말해 기본적으로 욕구는 존재욕구의 충족 -> 관계욕구의 발생 -> 관계욕구의 충족 -> 성장욕구의 발생 형식으로 이루어지지만 관계욕구의 좌절 과 같은 상황에서 관계욕구의 중요성만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욕구 또한 동기로써의 효력이 다시 생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위 단계의 욕구에서 상위단계의 욕구로의 일방통행이 아닌 상,하위 단계의 욕구 충족 사이의 상호 작용을 의미합니다.

'경영 이론 > 조직행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각의 과정과 지각오류  (0) 2019.07.24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0) 2019.07.16
맥그리거의 XY이론  (0) 2019.07.15
귀인 이론  (0) 2019.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