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이란 쉽게 말해 자극에 대한 반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반응은 지각과정을 통해 형성됩니다.
지각 과정은 선택 -> 조직화 -> 결과 의 순서로 진행되는데, 세부적으로 알아보면
1. 선택
자신이 관심 있는 것은 지각하고, 관심 없는 것은 지각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매 순간순간 인간은 많은 자극에 노출되지만, 모든 자극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신경쓰이는 것. 즉 관심 있는 것에만 반응하는거죠.
예를 들면 두사람이 음식점에 갔는데 한사람은 음식의 질에 대해 신경을 쓰고 있고, 다른 한사람은 매장의 관리상태(위생,직원친절도)를 신경쓰는 것처럼 같은 상황, 같은 자극에 노출되더라도 이에 대한 반응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를 선택적 지각이라 하며, 의사소통 과정에서 부분적 정보만을 받아들여 지각오류를 유발시킬 수도 있습니다.
2. 조직화
일단 선택이 된 자극이 하나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을 조직화라고 합니다. 이러한 조직화 과정을 게스탈트 과정이라고도 합니다.(Getalt는 형태 라는 독일어)
조직화의 형태로는 접근성이나 유사성을 근거로 자극들을 하나로 묶는 경향의 집단화, 불완전한 정보에 직면했을 때 이러한 불완전한 부분을 채워 전체로 지각하려는 폐쇄화, 정보가 너무 많을 경우 그 중에서 핵심적이고 중요한 것만 골라 정보를 줄이는 단순화, 개인이 하나의 대상을 지각할 때 선택된 전경과 그 주분의 대상인 배경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전경-배경의 원리 등이 있습니다.
3. 해석
해석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조직화된 자극들에 대한 판단의 결과를 의미하는데
이 때 해석은 개인에 따라 판단과정이 쉽게 왜곡될 수 있어 주관적이며 이로 인해 지각오류가 발생합니다.
지각과정에서 다양한 영향요인들에 따라 지각오류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1. 후광효과와 뿔효과
후광효과는 어떤 대상에 대한 호의적 인상이 대상에 대한 평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지각오류를 의미하며, 뿔효과는 반대로 대상에 대한 비호의적 인상으로 인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지각오류입니다.
2. 상동적 태도
상동적 태도는 대상이 속한 집단에 대한 지각을 바탕으로 대상을 판단하는 것으로 흔히 일반화 오류와도 비슷한 개념입니다.
후광효과와 뿔효과는 개인에 대한 지각을 바탕으로 하지만, 상동적 태도는 소속집단을 바탕으로 판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3. 지각적 방어
지각적 방어는 개인에게 위협을 주는 자극이나 상황을 피하는 것으로, 심리학적 용어로 방어기제와 같은 지각오류입니다.
4. 투영효과
투영효과는 평가대상에 지각자의 감정을 귀속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사람들도 자신과 같은 태도나 감정일 것이라고 단정하여 주관적 상황을 객관적 상황으로 잘못 인식하게 됩니다.
5. 자성적 예언
자성적 예언은 개인의 기대나 믿음이 결과로 행위나 성과를 결정하게 되는 지각 오류를 뜻합니다. 이는 대상의 행동에 대해 미리 기대를 가지고 그로 인한 결과를 무비판적으로 사실을 지각할 수 있는 지각오류로 피그말리온 효과라고도 합니다.
6. 자존적 편견
자존적 편견은 평가자가 자신의 자존심을 위해 실패요인을 외부에서, 성공요인을 내부에서 찾으려는 경향을 뜻하며 귀인오류에 해당하는 지각오류입니다.
7. 순위효과
순위효과는 대상을 평가할 때 인식한 지각의 순서에 따라 평가결과가 달라지는 지각오류를 뜻하며, 가장 먼저 인식한 지각대상의 첫인상이 평가에 크게 작용하는 것을 최초효과, 가장 마지막 순서의 지각인 최근 인상이 평가에 크게 작용하는 최근효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순위효과는 지각자가 스스로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쉽게 들 수 있는 예로 오디션 프로그램의 순위, 아르바이트,직원채용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8. 근접오류
근접오류는 시간,공간적으로 지각자와 멀리 있는 지각대상보다 가까이 있는 대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지각오류를 뜻합니다.
9. 대비오류
대비오류는 대조효과라고도 하는데, 지각대상을 평가할 때 다른 대상과 비교를 통해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 지각자는 자신이 더 좋아하는 지각대상을 호의적으로 평가하는 지각오류를 범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유사효과라고도 합니다.
10. 상관편견
상관편견은 지각자가 다수의 지각대상 간에 논리적인 상관관계가 적음에도 이를 연관시켜 지각하는 오류를 뜻하며, 논리적 오류라고도 합니다.
이러한 상관편견은 대상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지각오류는 위의 종류들을 포함해 지각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오류들을 의미하며, 우리는 대상을 판단, 지각할 때 다음과 같은 지각오류를 범하지 않았는지 유의해야 더욱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상황 또는 사물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경영 이론 > 조직행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욕구단계이론과 ERG이론 (0) | 2019.07.20 |
---|---|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0) | 2019.07.16 |
맥그리거의 XY이론 (0) | 2019.07.15 |
귀인 이론 (0) | 2019.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