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 이론/조직행동 이론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조건화는 조직행동론 중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해당하는 이론입니다.

 

"파블로프의 개" 실험은 누구나 알만한 실험인데, 이것이 바로 고전적 조건화 실험입니다.

 

배고픈 개에게 종소리와 함께 고기를 주면 개가 침흘림을 보이는데, 학습을 통해 고기가 없이 종소리만으로도 침흘림이라는 생리반응을 보인다는 것이 주된 실험 주제로

 

여기서 고기는 무조건자극, 고기로 인해 흘리는 침은 무조건 반응이며, 학습을 통해 종소리는 조건자극, 종소리를 듣고 흘리는 침을 조건반응 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초 아무런 자극을 주지 못하던 중성자극이 조건화를 통해 조건자극이 되면, 또 다른 중성 자극도 조건화를 할 수 있는데 이것을 이차적 조건 형성이라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조건화를 통해 형성된 조건자극들은 무조건자극과 함께 제공하지 않을 경우, 조건화가 풀리는데 이것을 소거라고 합니다.

 

이러한 고전적 조건화는 인간의 본능적 반응과 유사하며,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형성되는 학습의 형태입니다.

 

 

스키너는 고전적 조건화와 손다이크의 시행착오설을 바탕으로 조작적 조건화라는 학습과정을 주장하였는데,

 

손다이크의 시행착오설이란, 쉽게 말해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행동, 즉 시행착오가 줄어든다는 이론으로 주요법칙으로 연습의 법칙, 효과의 법칙, 준비성의 법칙이 있습니다.

 

고전적 조건화의 실험에서 고기를 주는 행동을 조작적 조건화에서 강화 라고 볼 수 있는데, 이는 무조건 자극 뿐만 아니라 조건화 과정에서 부여하는 보상을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의 감소로 구분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를 위해서는 긍정적 강화(보상의 부여), 부정적 강화(불편자극 철회)가 있으며,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의 감소는 소거(보상의 철회), 벌(불편자극 부여)가 있다.

 

실제 예를 들 수 있는 것은

 

개인성과에 따라 받는 성과급여, 성적이 전교 00등 했을 때 무엇을 사주겠다는 약속은 긍정적 강화(보상의 부여)

체력저조자의 체력이 개선될 때까지 체력단련을 실시하는 것은 부정적 강화(체력 개선 - 체력단련을 안함)

귀가시간이 늦어 부모님으로부터의 용돈이 줄어든 것은 소거(보상의 철회)

학창시절 선생님들의 체벌은 벌(불편자극 부여)에 해당한다.

 

이러한 보상의 종류는 실제로 기업 또는 사회에서 많이 적용할 수 있는 이론으로, 주변에서도 쉽게 대입해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고전적 조건화는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반응행동만 설명하지만 조작적 조건화는 반응으로부터의 보상의 종류에 의해 조건화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경영 이론 > 조직행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각의 과정과 지각오류  (0) 2019.07.24
욕구단계이론과 ERG이론  (0) 2019.07.20
맥그리거의 XY이론  (0) 2019.07.15
귀인 이론  (0) 2019.07.14